마도리카 부동산2

공식 한글 지원.

 

아쉽게도 1편은 한글이 아니다.

 

옵션이 게임상에 상시 표시되어있는게 특징.

.

전체화면을 하려면 Alt + 엔터.

(거의 대부분 게임에 먹히는 마법의 키 조합)

 

 

 

 

 

 

 

 

 

 

부동산에 들어가면 매물 게시판이 나오고

평면도를 출력 할 url을 qr코드로 알려준다.

 

키보드 기준으로 p키를 누르면 바로 pdf 화면이 뜨긴하는데,

문제는 영어로 되어있다.

 

얌전히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자.

 

 

 

 

 

 

 

그러면 위와같은 인터넷 페이지가 뜬다.

 

 

 

 

 

 

 

아래로 스크롤하면 한국어 pdf 파일 링크가 있다.

클릭하면 pdf가 열린다.

 

여기 링크 자료는

닌텐도 스위치 기준으로 키 설명을 하고 있지만,

pc판으로 플레이하는데 아무 지장 없으니

안심하고 사용하자.

 

 

 

 

 

 

무선 프린트기가 있다면 바로 출력하면 되며,

 

컴퓨터로 연결해야하는 경우에는

pdf파일을 스마트폰에 저장한다음 메일로 첨부해서

컴퓨터로 다운받으면 된다.

 

 

 

 

 

 

직접 홈페이지에 들어가고 싶다면,

스팀 상점페이지 개발자 쪽 링크를 클릭하자

 

링크 위치는 사진의 붉은 박스.

 

 

 

 

 

 

 

개발자 정보 페이지에서

팔로우 쪽에 공식 홈페이지 링크가 있다.

 

링크 위치는 사진의 붉은 박스.

 

클릭해서 들어가면된다.

 

다만 여기서는 일본어로된 pdf를 제공한다.

 

 

다시 한 번 언급하자면,

이 게임을 플레이하려면 프린트기가 꼭 필요하다.

 

 

 

 

 

 

 

부동산 매물 게시판의 모습.

 

처음에는 튜토리얼 부분만 열려있다.

 

 

 

 

 

 

 

 

첫번째 매물에 진입하면

평면도와 pdf 다운로드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준다.

 

마우스 + 키보드로 플레이한다면

키보드로만 조작하자.

 

마우스로 클릭하면 무조건 활성화된 버튼만 클릭 되며

선택이 불가능하다.

 

 

 

 

 

 

 

 

 

 

스토리는

마도리카 부동산에서 일하는 주인공이

무계약 불법 점거하고 있는 못된 세입자 유령을 찾아가

혼쭐을 내주고 쫓아내어 안전한 건물을 만드는 게임이다.

 

 

 

 

 

 

 

 

 

 

 

근데 고용주의 모습이 수상쩍다.

이름도 '마도'린...

 

업무도 퇴마 관련된 듯 하다.

 

 

 

 

 

 

기본적으로 풀3d 맵에서 진행된다.

 

마우스로 시점 전환이 가능하지만,

정밀하게 조준해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키보드 방향키로 하는게 편하다.

 

 

 

 

 

 

 

 

게임을 하게되면 많이 보게될 눈을 감은 모습.

 

 

 

 

 

 

 

 

 

주변을 둘러보면 벽에 힌트가 붙어있다.

 

 

 

 

 

 

 

 

 

 

 

방 이동은 마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눈을 감고 특정 알파벳을 누르면 이동할 수 있다.

 

 

방문에 붙은 암호는 abyx.

 

 

 

 

 

 

눈을 감고 abyx를 누르면...

 

 

 

 

 

 

 

 

 

뾰로롱 하고 마법이 발동되어 해당 문 너머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방으로 순간이동한 모습.

그냥 열고 들어가면 안 되나?

 

 

눈치 빠른 사람은 바로 감이 올 것이다.

'아, 방을 옮겨 다닐때마다 눈을 감고 코드를 입력해야하는 구나...'

이렇게 말이다.

 

 

 

 

 

 

 

 

맨 처음 장소로 이동할때는 aaaa.

 

 

 

 

 

 

 

 

그냥 화장실 모습.

 

 

 

 

 

 

 

 

 

방에서 힌트를 보고 프린트한 종이와 연계하여 푼다음

 

마지막 알아낸 스펠로 해당 매물을 휘어잡고 있는

유령을 때려잡으면 된다.

 

 

 

 

 

 

 

저, 이제 퇴근할게요! 사장님!!

 

 

 

 

 

 

 

 

 

 

 

클리어.

 

나중가면 시간제한도 존재.

 

 

 

 

 

이것을 쭉 반복하게된다.

 

 

혹시 퍼즐 풀다가 도저히 모를 때는 눈을 감고 x버튼 한번 누르면

힌트를 알려준다.

 

그래도 도저히 모르겠다면,

 

키보드 기준으로 w버튼을 누르면

메뉴가 출력되는데 거기 힌트 qr코드가 있다.

찍으면 유튜브 영상으로 연결된다.

 

 

스테이지마다 하나씩

게임에서 제공하는 실제 평면도가 필요하며,

 

해당 평면도를 접어서 빛을 비추거나, 색칠하거나, 돌돌말거나

심지어 가위로 오려서 입체적인 모형을 만들어야하기에

프린트 하는게 필수.

 

 

방탈출 게임인줄 알았더니

퍼즐 게임이었다.

 

제목이 굉장히 긴데,

그냥 괴혼이라고 부르도록 하자.

 

 

 

 

 

 

 

 

 

 

시작하자마자 계약서를 들이미는 괴혼의 모습.

 

 

 

 

 

 

 

 

 

 

아, 개인정보 안 넘겨요. 훠이~ 훠이~

 

 

 

 

 

 

 

 

 

처음부터 작은 해상도에 창모드로 구동되어 생각보다 귀찮다.

물론 한 번 바꾸면 그 다음 부터는 자동으로 적용된다.

 

 

 

 

 

 

 

 

 

 

 

대충 인트로 장면.

 

 

 

 

 

 

 

 

 

 

 

갑자기 헛소리를 하시는 아바마마의 모습.

 

 

 

 

 

 

 

 

 

처음 세계에 접속하자...

이 게임이 일본 게임인가 심히 당황스럽고 의심스럽다.

 

 

 

 

 

 

 

 

 

튜토리얼을 알려주시는 아바마마.

 

 

 

 

 

 

 

 

 

 

 

 

키보드 조작이 굉장히 번거럽고 어렵다.

 

일본 콘솔게임 이식할 때 전형적으로 보이는

마지못해 키보드 + 마우스 플레이를 적용시킨 모습이다.

 

 

할인해서 산거니 그냥 넘어가는 걸로.

 

 

 

 

 

 

 

 

 

 

튜토리얼을 끝내니,

아바마마의 품평회가 이어진다.

 

그건 그렇고 발이 너무 가까워서 부담스럽다.

 

 

 

 

 

 

 

 

 

 

 

왕자가 굴려 만든 덩어리는 저 하늘의 별이 된다.

 

 

 

 

 

 

 

 

 

 

조작이 너무 번거로워서

설정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한 모습.

 

기본 조작에 비해

시점 전환이 어려워서

이거나 저거나 번거롭기는 마찬가지.

 

 

 

 

 

 

 

 

 

 

저장은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에서 한다.

 

 

 

 

 

 

 

 

 

 

 

부담스럽게 커다란 꽃이 튀어나온다.

 

 

 

 

 

 

 

 

 

 

 

열심히 방안 물건을 도둑질 청소하는 왕자의 모습.

 

 

 

 

 

 

 

 

 

 

 

 

게임 불러오기 화면.

 

na에 세이브 했는데,

뭔지 몰라서 m을 굴려버렸다(불러왔다).

 

 

 

 

 

 

 

 

 

 

 

가끔 친척들이 맵에 돌아다니는데,

굴려서 덩어리에 붙이면 왕자같은 조작 캐릭터가 해금된다.

 

 

 

 

 

 

 

 

 

 

게임 오버때 모습.

 

아바마마가 눈에서 광선을 발하는데

조작해서 피할 수 있다.

 

 

 

 

 

 

 

 

 

 

 

학교 맵에서 웬 된장국 같이 생긴얘가 있길래

날름 굴려다가 납치해금시켰다.

 

이름도 무려 미소(된장).

 

어떤 캐릭터로 조작하느냐에 따라

아바마마의 대사가 그에 맞춰 살짝 바뀐다.

 

 

 

 

 

 

 

 

나름 열심히 굴린건데,

항상 작다고 타박하는 아바마마의 모습.

 

 

 

 

재미는 있는데,

이 게임의 단점은 타이머이자

장점도 타이머이다.

 

 

맵에 들어가면 아바마마가 왕자에게 목표를 2개 준다.

 

하나는 어느 정도까지 크기를 키워라이고,

다른 하나는 제한 시간이다.

 

조작도 어렵고,

굴리는 덩어리 크기에 따라

어느 물건을 합칠 수 있는지 감이 잡히지 않아

타임오버를 당하다보니 아무래도 재미가 없어지기 시작.

 

 

그때마다 타이머는 대체 왜 넣어둔거냐고 생각했는데,

눈굴리기 맵에서 왜 타이머가 있는지 절실히 깨달았다.

 

 

이 게임은 타이머가 없으면

굉장히 지루해서 재미가 없다.

 

 

제일 싫어하는게 타임 어택인데,

타임 어택이 없으면 재미 없는 게임이라니

게임성이 그리 썩 좋은 편은 아니라 아쉽다.

 

얼마전에 디아블로4가 50% 할인하는 것을 봤다.

 

항상 디아블로 같은 파밍 게임을 찾다가

생각해보니 그냥 디아블로를 사면 되는거 아닌가 싶어서 구매 결정.

 

참고로 디아블로는 1, 2만 해봤다.

 

 

한 70~80% 할인하면 구매하려고 했는데

아마 그때쯤이면 개발자가 손을 놔서

업데이트도 끊기고 새로운 이벤트와 시즌없이 진행될거 같아서

그냥 구매했다.

 

 

 

 

 

 

 

 

 

 

스팀에서 사면 타사 런쳐(DRM) 이중 로그인 하는게 귀찮을 까봐

블리자드 공식홈에서 구매하려고 했는데,

 

스팀하고 할인이 다르다.

구매하려던 일반판만 쏙 할인을 빼놨다.

 

 

어쩔수 없이 스팀판으로 구매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일반판을 할인하지 않은 블리자드 홈페이지가 고마울 지경이다.

 

보니까 블리자드런처는 업데이트 이슈(정상적으로 실행이 안 되는 버그)가 있고,

또 우려했던 타사 런쳐 로그인은 없었다.

 

그러니까 스팀에서 구매하면

블리자드 아이디는 만들어야하지만,

따로 블리자드 런처를 설치할 필요 없이

게임 내에서 바로 로그인 할 수 있다.

 

이점은 정말 칭찬하고 싶다.

 

 

그 EA계열 게임이나 유비소프트 게임은 타사 런쳐 설치가 필수이고

이중 로그인 방식이라 귀찮다.

 

어차피 자사 런쳐 깔게 할거면 스팀에서 왜 파는지 모르겠다.

 

 

 

 

 

 

 

 

 

블리자드 로고.

 

 

 

 

 

 

 

 

 

 

타이틀 화면.

 

 

 

 

 

 

 

 

 

로그인 대기열의 모습.

(참고로 이 게임은 온라인 접속만 가능하다.)

 

이 글을 쓴 시점으로 시즌4 진행중인 상태이다.

 

워낙 망겜으로 소문나서 그런지

로그인 대기열은 없다시피 한다.

 

 

 

 

 

 

하지만 나는 똥오줌이라 불리는 폴아웃76도 500시간이나 찍은 사람이지. 후훗.

 

 

 

 

 

 

 

 

 

 

 

 

 

 

 

 

 

 

 

처음 구동하면 누가 텍스트를 쏼라쏼라 읽어준다.

 

굉장히 기분나쁘니 꼭 옵션에서 끄도록 하자.

 

 

너무 과도한 친절은 오히려 상대의 기분을

해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첫 인트로 장면.

 

솔직히 고백하자면,

디아블로 1,2 인트로는 본 적이 없다.

 

 

 

 

 

 

 

 

 

 

 

 

 

 

캐릭터 생성 화면.

 

디아블로2와 동일한 구조로 보인다.

 

 

아쉬운건 게임 언어 유니코드에 따라

샘플 캐릭터들이 해당 언어 인종으로 나와줬으면 좋았을 것을...

 

 

아니면 랜덤으로 하던가.

 

 

 

 

 

 

 

 

 

 

 

한번도 안 해봤던 조폭네크가 불끈불끈하고 싶어서

강령술사로 선택.

 

 

일단 여캐로 고른거긴 한데,

여캐 맞나...?

 

 

 

 

 

 

 

 

 

 

게임을 시작하기 앞서

영역 선택이 나오는데

 

무조건 시즌 영역이다.

 

 

 

 

 

 

 

 

 

 

캐릭터 인트로 장면.

 

 

 

 

 

 

 

 

 

실제 게임 장면.

 

쿼터뷰 방식이며,

화면 회전할 필요도 기능도 없다.

 

생명, 마나 구슬 진짜 오랜만이다.

FHD 와이드한 화면에 맞춰

한 눈에 들어오도록 짧게 배치한 것이 인상적이다.

 

 

 

 

 

 

 

 

 

 

 

인벤토리 화면.

 

기존 시리즈에서 볼 수 없었던

캐릭터 모습이 보인다.

(디아블로3 안 해봄)

 

개인적으로 놀랐던 것은

디아블로 특유의 테트리스 인벤토리 방식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창고도 게임내 골드로 확장 가능하고

편의성이 굉장이 늘어났다.

 

 

 

 

 

 

 

 

 

인벤토리에 캐릭터가 나오는 이유가 있겠지...

바로 상점에 들어가보자.

 

 

 

 

 

 

 

 

 

 

 

상점에 들어가니 대뜸 배틀 패스를 들이미는 모습.jpg

 

유료로 구매하는 게임이다보니

모바일 게임과는 다르게 무료 시즌 아이템을 지급한다.

 

 

 

 

 

 

 

 

 

 

 

 

스킨은 캐릭터별로 따로따로이다.(시즌 의상 제외)

 

위 사진은 원소술사 스킨은 욕망의 사슬이며,

막상 구매하려고 하니 가격이 3만원이 넘는다.

 

게임 본편이 할인을 했어도 42,250원인 것을 생각하면

선뜻 구매하기가 꺼려진다.

 

심지어 스킨은 인벤토리 외에는 잘 보이지도 않는다.

 

 

 

 

대부분의 스킨은 상시긴 하지만,

시간제한이 있고 로테이션에 따라 목록이 바뀌는 형식.

 

 

 

 

 

참고로 이 게임은 스킨을 보겠다고하면

대뜸 반쯤 벗은 남캐를 보여줘서 눈을 아프게 하는데

 

그건 어떻게 변경 할 수 없지만,

여캐가 입은 옷이 어떻게 생겼나는 볼 수 있다.

 

아래 잘 보면 머리, 상의, 하의 별 의상 아이콘이 보일텐데

상의부분을 클릭하면 더욱 부담스럽게 확대가 된다.

 

거기서 다시 아래를 보면 성별 바꾸기가 나온다.

아마 인 게임내에서는 형태 바꾸기(G키)인가 그렇게 나올것이다.

 

G키를 입력하면 여캐가 입은 모습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게임내 존재하는 옷장에서 의상변경이 가능하다.

 

외형만 변경되는 것이라

성능은 좋은데 룩이 구린 그런 장비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 게임은 무려 펫도 지원한다.

돈이나 재료, 보석 같은걸 자동으로 주워준다.

 

웬 거위하나 던져주고 마는 히어로 시즈에 비하면

선녀가 아닐 수 없다.

 

 

 

 

 

 

 

 

 

 

 

 

심히 부담스러운 로딩 화면.

 

 

 

 

 

 

 

 

 

 

 

가끔 캐릭터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실제 전투장면 모습.

 

사진은 지옥물결이라는 콘텐츠이다.

 

일정시간동안 특정 필드가 붉게 변하며,

해당 지역에서 몹들이 쏟아져 나오는 식.

그리고 잠깐 휴식타임을 가졌다가 위치가 바뀌어 반복된다.

 

과거 디아블로4가 욕을 먹었던 것 중 하나가

몹 밀도가 매우 낮다라는 것인데,

 

실제로 게임을 해보면 지옥물결 이벤트 외 지역은

파리만 날린다.

 

 

나중에 추가된 시스템으로 알고 있는데,

이게 없었던 시즌 부터 했던 사람들은

정말 무슨 재미로 했는지 싶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득템의 현장.

 

역시 디아블로하면 아이템 줍는 맛이지.

 

아이템 드랍 소리나 이펙트 관련 스킨을 팔아줬으면 좋겠는데,

아쉽게도 아직 없는 모양이다.

 

 

 

 

 

 

 

 

 

 

 

어마무시한 스킬 로드맵의 모습.

 

사실 기술트리 자체는 작은데 비해

정복자 보드는 어마 무시한 양을 자랑한다.

심지어 저게 보드 3개가 깔린 상황이다.

 

새로운 보드를 깔때 회전해서 입맛에 따라

특성 연결을 달리 할 수 있다.

 

처음 할때는 그냥 공략보고 하자.

 

 

 

 

 

 

 

 

 

난이도는 고행까지 뚫었다.

 

 

 

 

 

 

 

 

 

시즌패스는 구매하지 않았지만,

만렙까지 찍어놨고, 시즌 축복도 모두 해금했다.

 

레벨은 아직 80대 후반.

 

 

 

 

 

 

 

 

 

 

시즌 이벤트인 늑대의 명예도 완료.

 

이제 남은건 위상 작업 정도.

(아이템 파밍과 성장은 자기 만족이라 뭐.)

 

 

 

 

 

 

 

 

 

 

그리고 속성 저항도 최대값인 70%로 맞춰놓았다.

 

참고로 난이도를 올리면 저항값이 마이너스가 되어서

실제로는 140이상일 것이다.

 

 

이번 시즌에서 지옥물결을 많이 가게 될텐데,

거기 필드 보스인 피의 여제와 소환몹이 불 속성 공격을 퍼붓는다.

 

그러니 우선적으로 화염 속성 70% 부터 맞추는게 좋다.

 

 

고행에서 보스 사냥하다보면,

레벨 100들도 소환수 + 보스 공격에 녹아버리는데 반해

내 캐릭터는 잘 안 눕는다.

 

아마도 저항 값을 맞추지 않은게 원인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가지고 싶었던 유령마를 손에 넣었다.

 

다른 유저들이랑 군단 이벤트 보스를 신나게 때려잡았는데

드랍하는거보고 날름 얻어다가 등록했다.

 

 

 

나름 재미도 있고 소소하게 마음에 든다.

+ Recent posts